ImFe's study

스택에 대한 간단한 설명 본문

카테고리 없음

스택에 대한 간단한 설명

ImFe 2020. 4. 12. 19:34

대략적인 메모리 구조



높은 주소

STACK

 
HEAP
BSS(uninitialized)
Data(initialized)
Text(code)

낮은 주소


 

STACK= 스택. 후입선출(Last In First Out) 마지막에 넣은 것이 먼저 나옵니다. 함수와 지역변수가 있고 이 부분에서 취약점이 많이 노출됩니다(Ex 버퍼오버플로우)

 

Heap= 동적으로 할당되는 변수들이 위치하는 곳입니다. 예를들어 malloc으로 할당된 변수들은 heap공간에서 정의가 됩니다.

 

BSS= 프로그램에서 사용될 실제 변수들이 위치하는곳입니다. 이 위치에 있는 변수들은 아직 초기화가 안되어있습니다.

 

Data=초기화가 이루어진 변수들입니다.

Text(code)=실제로 작성한 코드들입니다.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Text영역의 코드가 한줄씩 해석이 되며 프로그램이 실행됩니다.

 










대략적인 스택프레임(stack frame)

버퍼
변수
RBP
RET

            스택 프레임구조


RBP(EBP) = 스택이 시작하는 베이스 포인터입니다. 이 위로 스택이 쌓입니다.


RET(return address) = 가장 아래쪽에 쌓입니다. 특정 함수가 끝난후에 돌아갈 장소가 저장됩니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ret는 돌아갈 코드영역의 위치를 가지고 있어서 ret변조의 위험성이 있습니다.

Commen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