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Linux] CentOS6 - 리눅스 도메인네임서버(DNS Server) 구축
DNS 란?
네트워크에서 도메인이나 호스트 이름을 숫자로 된 IP 주소로 해석해주는 TCP/IP 네트워크 서비스이다.
TCP/IP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네임 서비스의 구조이다. TCP/IP 네트워크에서는 도메인이라고 하는 논리적 그룹을 계층적으로 설정할 수 있고, 그 논리적 그룹 명칭인 도메인명을 컴퓨터의 명칭(호스트명)의 일부에 포함시켜 이용하는 방법을 찾고 있다. 도메인 혹은 호스트 이름을 숫자로 된 IP 주소로 해석해 주는 TCP/IP 네트워크 서비스로서, 계층적 이름 구조를 갖는 분산형 데이터 베이스로 구성되고 클라이언트·서버 모델을 사용한다.
메일서버(roundcube)를 구축하기 전 네임서버 구축을 해보려 합니다.
NameServer를 운영하기위한 서버 데몬 프로그램인 BIND를 이용하여 해보겠습니다.
yum -y install bind bind-utils
포트를 개방해줍시다. (53번 사용)
iptables -A INPUT -p tcp --dport 53 -j ACCEPT
iptables -A INPUT -p udp --dport 53 -j ACCEPT
service iptables save
service iptables restart
1. named.conf
네임서버 데이터베이스 및 zone 파일의 위치, 접근제어등의 보안설정을 할 수 있는 메인 설정파일
/etc/named.conf
2. named.rfc1912.zones
vi /etc/named.rfc1912.zones
하단에 해당 내용 추가. zone영역 파일은 /var/named/ 하위에 존재해야합니다.
3.ZONE 파일 설정하기
/var/named로 이동
named.localhost를 사용할 도메인의 zone파일명으로 복사합니다.
vi hchostingysc
/var/named/[도메인].zone 파일 설정
권한설정
dns 서버를 구축한 서버로 지정
vi /etc/sysconfig/network-scripts/ifcfg-eth0 //ifcfg-[디바이스명]
nslookup을 이용한 확인