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
- 어셈블리어
- CSS
- aws ec2
- 김골라
- 설치완료안됨
- AWS CodeBuild
- can't getting credentials
- Sequelize Error: Dialect needs to be explicitly supplied as of v4.0.0
- Error:error:0308010C:digital envelope routines::unsupported
- Unable to find the global bin directory
- ogr2ogr
- EC2
- SASS
- C언어
- nodejs
- GeoJSON object too complex/large
- ERR_PNPM_NO_GLOBAL_BIN_DIR
- ins-32103
- expo
- AWS CodePipeline
- netlify variables
- react
- 이미지 좌표 추출
- credential error
- rwdImageMaps
- S3
- AWS
- NODE_VERSION
- node
- 반응형 페이지 좌표 변환
- Today
- Total
목록전체 글 (254)
ImFe's study
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.

https://browsersync.io/ (공식 문서) browser sync는 여러 브라우저에서 테스트하는것을 도와주는 동기화 프로그램이다. 노드 모듈이므로 node.js설치가 선행되어야 한다. node.js가 설치되어있다면 https://www.npmjs.com/package/browser-sync browser-sync Live CSS Reload & Browser Syncing. Latest version: 2.27.7, last published: 4 months ago. Start using browser-sync in your project by running `npm i browser-sync`. There are 2300 other projects in the npm registry u..

작업중인 프로젝트에서 리소스를 교체해야 할 일이 생겨 ogg파일을 삭제하려했지만 삭제되지 않는다. 다른 폴더로의 이동도 불가능하다. web media extension을 설치하면 해당 프로그램에서 ogg파일을 삭제할 수 있다고 하길래 깔았더니 깔고나서야 해당 확장을 설치하면 아예 탐색기에서 다룰 수 없다는 정보를 찾았다ㅋㅋ하 powershell에 이 명령어를 입력하면 해당 확장을 삭제한다고 한다. get-appxpackage *webmediaextensions* | remove-appxpackage

보통은 1. width, height값을 0으로 준다 2. display:none; 의 방법을 사용한다. 1번의 경우 지난번 프로젝트에서 사용한 방법인데(서버에 유저가 입력한 값 저장하기 위해 통신), 통신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져 값이 저장됐다면 특정 이미지를 화면에 꽉 채우려 했다. 그런데 top:0; left:0값을 줘도 꽉 차지 않고, 공백이 발생했었는데.. 우악스럽게 CSS를 짜서 어찌저찌 넘겼다. 2번의 경우는(크롬 브라우저 기준) iframe에 속성이 적용되지 않는다. 엄밀히 말하면 적용이 안되는 것이 아니라, iframe 표시를 위해 html코드가 생성되는데, 여기에 display:none;을 추가하는것 보단 가리고 싶은 태그에 visibility:hidden 속성을 추가하는것이 훨씬 간단하다.

EC2에서 npm start해서 잠깐 뭐 좀 확인하려고 했는데 오류가 발생하였다 말 그대로 3001번 포트에 이미 사용중인 서비스가 있어서 발생하는 오류이다 전날에 3001번에서 NodeJS로 구성된 서비스를 이용하였고, 종료하였으나 정상적으로 종료되지 않은듯 하다 lsof -i TCP:[포트번호] 를 이용하여 3001번에서 열린 서비스를 확인한 결과 nodejs서비스가 종료되지 않은것을 알 수 있다. netstat -tnlp|grep [포트번호] 를 통해서도 해당 포트번호에 어떤 서비스가 동작중인지 알 수 있다. kill -9 [PID값] 을 넣어줘서 해당 프로세스를 종료시킬 수 있다. 해당 포트에서 실행중이던 프로세스를 종료시키면 다시 정상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.
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.
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.
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.